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애플. 이제 중국과는 짜이찌엔?

카테고리 없음

by 행복한부자 피터팬 2023. 4. 30. 19:02

본문

728x90
  • “중국과 공생관계” 외치더니...뒤로는 ‘절교’ 준비 중인 애플

 

팀 쿡, 中베이징 애플스토어 직접 방문, 시민들과 사진 찍는 등 ‘파격 소통 행보’
뒤로는 ‘脫중국’ 시도…인도·베트남 관심, 中경제보복·민족주의 등 해결 숙제 산적

 

[중국 베이징 애플스토어를 방문한 팀 쿡 애플 CEO, 사진 출처 - CNN]

 

약 2년에 걸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첫 중국행을 택한 쿡 CEO는 베이징 현지 애플 매장을 깜짝 방문해 중국 소비자들과 셀카를 찍는 등 직접 소통했다. 자신의 동료들과 함께 베이징을 찾은 쿡 CEO는 중국 정부 고위 관계자들을 만나 애플의 미래 현지 생산 방향 등 계획을 논의했다. “애플과 중국은 공생 관계” 등의 우호적 메시지를 쏟아낸 쿡 CEO는 농촌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1억위안(약 189억원)을 투자하겠다는 소식도 발표했다.

표면적으로는 애플과 중국의 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도 돈독해 보이지만, 애플이 겉으로는 웃으면서도 뒤로는 칼을 갈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협력 관계를 유지했던 중국과의 관계 단절을 위한 물밑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점점 심화되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갈등, 한·미·일 삼각 동맹과 북·중·러 동맹의 첨예한 대결 구도 등이 촉발하는 외교 및 지정학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애플은 자사 생산시설을 중국에서 서서히 빼는 ‘탈(脫) 중국’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을 견제하는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애플의 이 같은 전략 추진은 트럼프 행정부 때부터 특히 급물살을 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재임 당시 미·중 갈등이 최고치로 치달은 상황에서 글로벌 공급망 붕괴를 촉발한 코로나19 대유행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지난해 애플은 공급망 이슈로 주요 제품 출시를 연기해야만 했다. 당시 맥북 위탁생산(OEM) 업체 콴타의 상하이공장 가동이 중단되면서 맥북 에어 출시가 몇 주 연기됐고, 대만 폭스콘이 운영하는 아이폰 생산공장도 문을 닫아 관련 제품 출시가 뒤로 미뤄졌다. 이는 애플의 분기 매출 하락으로 이어졌다.

 

팬데믹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의 중요성을 새삼 다시 실감한 애플은 다양한 리스크를 안고 있는 중국에서 다른 나라들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최근 관심받는 나라는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아일랜드 등이다. 인도에서는 아이폰, 베트남에서는 에어팟, 말레이시아에서는 맥북 등 생산을 점차 늘린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인도 뭄바이에 처음 문을 연 애플스토어를 방문한 팀 쿡 애플 CEO. 사진 출처 - 로이터통신]

 

애플이 중국을 대체할 핵심 생산거점으로 특히 주목하는 국가는 인도이다. 핀란드의 애플 부품 제조업체인 살콤 인도 법인의 사업을 확대하는 동시에 금속과 플라스틱 부품, 유리 제품과 나사 등 생산시설을 인도에 추가 설립하는 건을 논의 중이다. 실제로 인도 내 애플 제품 생산량은 매년 증가 추세이고, 지난해 생산된 총 2억대의 아이폰 중 650만대 이상이 인도에서 만들어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내년 인도 내 아이폰 생산량이 1500만 대를 넘어설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애플이 지금처럼 탈 중국과 인도로의 생산거점 전환을 적극 추진한다면 오는 2025년까지 아이폰 전체 생산시설의 25%를 인도로 옮길 수 있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애플이 아이폰을 넘어 아이패드와 애플워치 생산까지 인도에 맡길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