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플레이션 중 가장 무서운 녀석은?

카테고리 없음

by 행복한부자 피터팬 2023. 5. 27. 20:35

본문

728x90

기술적으로 인플레이션은 한 해에서 다음 해까지의 물가 상승률을 말한다. 보통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혹은 고용비용지수와 같은 가격 지수들의 백분울 변화로 측정한다. 먼저 인플레이션에는 세 종류가 있다는 걸 알아야 한다.


첫째, 경제 호황과 함께 부족한 상품을 사기 위한 현금이 넘쳐날 때 발생하는 수요 견인(demand-pull) 인플레이션이 있다. 해결하기 쉬운  인플레이션은 없지만 그나마 이 친구는 쉽게 길들여지는 편이다. 둘째, 유가상승이나 가뭄으로 인한 식품 가격 상승처럼 공급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인상(cost-push) 인플레이션이 있다. 이 인플레이션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충격도 대단히 커서 미연준이 종종 욕을 많이 먹는다. 마지막으로, 천천히 모습을 드러내지만 위험도가 가장 높은 임금 ( wage) 인플레이션이 있는데, 대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압력 때문에 일어난다.

 

이 세 종류의 인플레이션을 빠르고 확실히 구분하지 못하면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 같은 경제 지표의 메시지를 잘못 해석하기 쉽다. 그럴 경우 예상되는 결과는 인플레이션 중 하나가 당신의 투자 자금을 삼키고 유유히 사라지는 것이다. 이런 사태는 한 가지 단순한 이유만으로도 사실이 될 수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뉴스를 들었을 때, 미연준과 월스트리트는 각자 실제로 두려워하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전혀 다르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준은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 근원인플레이션율(core rate of inflation,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식품과 에너지 비용을 뺀 것)을 증가시킬 때에는 재빨리 금리를 올리지만, 에너지나 식품처럼 공급 감소로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압력이 발생했을 때에는 훨씬 더 조심스럽게 행동한다. 이런 반응과 정반대 편에 선다면 완전히 망하는 것이다.